간단 개요:  한마디로 p2p(peer-to-peer network 으로 별도의 서버 없이 개인간 파일을 주고 받는 것) 전자 화폐 혹은 암호화 화폐 시스템으로 중앙 집중식이 아닌 익명, 추적불가능, 과세가 어려운 거래 시스템이다. 사토시 나카모토 Satoshi Nakamoto(실제 존재하는 인물이 아니라는 설이 지배적이다)에 의해 2008년 개념화되고 2009년 만들어졌다.

자세히: 내 컴퓨터에 설치한 지갑에 암호화된 비트코인 화폐가 들어있고 이것을 다른 사람에게 안전하게 보내고 받을 수(거래와 소유 증명) 있다. 여기서 어떻게 안전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블록체인이라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또 은행, 정부, 기업 같은 거대 발행 주체 없이도 평범한(?) 일반 사람이 모여 안정적인 화폐 혹은 거래 증명 시스템을 새로 만들 수 있다. (정확히는 P2P, 공개키암호화, 블록체인의 삼박자로 안전성을 확보하게된다) 이것이 가상화폐 개념이 매력적인 이유이다.

블록체인 :  암호화한 어떤 파일을 내가 가지고 있다면 안전해 보이지만 누군가가 이것을 해킹한다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하지만 내가 가진 동일한 파일을 10명 100명 1000명 … 이 가지고 있다면? 이 모든 파일을 해킹 해야할 것인데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면 그간의 거래 내역을 모든 사람이 나누어 가지고 있고 서로 검증한다면 안전하고 믿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최초의 거래 내역이 1개의 블록이 되고 이후 10분간의 거래 내역을 모아 정리하여(이 정리작업이 채굴임) 이전 블록에 이어 붙인다. 이후 계속 반복하면 이것이 블록체인이다. 즉 비트코인이 만든 이후 지금까지의 모든 거래 내역이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말한다. 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이 이 파일을 갖게 된다.

실제로 비트코인 코어를 설치하여 내 컴퓨터에 지갑을 만들면 블록체인(100기가가 넘는 파일)을 p2p 방식으로 다운 받게 된다. (물론 이것이 부담이 되므로 서비스를 하는 사이트에 가단히 가입하면 블록체인을 받지 않아도 되지만 이 과정에서 또 다른 보안문제가 생긴다)
(와이어드 블록체인 설명 기사(영어))

비트코인의 미래는?
벤처 기업인 가운데 가상 화폐(암호화 화폐)는 인터넷 보다, 산업혁명 보다 더한 혁명이라고 말한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새로운 벤처 기업이 엄청나게 생겨나고 있다.
또한 다른 쪽에서는 이것을 거품이나 심지어 사기로 본다. 복잡하고, 비밀스럽고, 법적으로도 모호하며 과도하게 각광을 받고 있다고 여긴다.
혁명이라 불려왔지만 사기꾼 또한 기회로 삼고 있는 상황이다. 블록체인 자체는 안전하다해도 사용자에 대한 해킹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며 탈취 당하면 돌이킬 수 없다.
소량의 개인입장에서도 문제지만 이것에 투자하려는 기업에게도 큰 걸림돌이다.
대안으로 가상 화폐에 투자하는 헤지 펀드에 투자하는 벤처 투자자가 생기게 되었다. 하지만 이것을 운영하는 매니저의 평균연령이 20대 중반으로 닷컴 버블 때 초등학생이었다. 닷컴 버블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와이어드 기사 참조,발췌: 링크1링크2)